minor code 잡는 방법
·
기타
이번에는 minor code(마이너 코드)의 운지법(잡는 방법)과 minor code pattern(마이너 코드 패턴)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자.들어가기 앞서 마이너 코드는 C, D, F, G, A, B 뒤에 소문자 m을 붙여서 표기한다. minor code 구성 화음 마이너 코드를 이루고 있는 화음은 Ⅰ(R 또는 1도), Ⅲ(♭3도), Ⅴ(5도)인데 쉽게 설명하여메이저 코드와 같이 R, 단 3도, 장 3도를 찾아서 화음을 낼 것인데 ♭3도라고 했으니단 3도의 음을 반음 낮추어서 잡는다라고 생각하면 가장 편하다. minor code를 배우기 전에 알아야 할 점은 하이코드(바레코드)가 더 많아진다는 점이 있지만 이거를 반대로 생각한다면 몇 가지 코드만 안다면 나중에는 더 편하다는 말이 되기도 하다 왜냐하면..
Major Code Pattern과 칼립소 리듬
·
기타
우리가 앞에서 C, D, E, F, G, A, B코드를 알아봤다. 근데 그 코드를 어떻게 치는지를 모르는 경우가 많다.그렇다면 이번에는 기타의 코드 패턴이 무엇인지 알아보자.Major Code Pattern일단 코드 패턴이란 쉽게 말하면 우리가 어릴 때 음악 시간에 했던 다장조, 라장조 이런 것을 생각하면 쉽다.우리는 지난 시간에 배운 Major Code를 코드 패턴으로 할 건데 C코드를 예시로 들자면 C코드는 1도부터 8까지 C, D, F, G, A, B, C가 되는데 우리는 Ⅰ(1),Ⅳ(4),Ⅴ(5),Ⅰ(1) 패턴을 사용할 것이다. 따라서 1도가 C라면 C, F, G, C가 C Major Code의 코드 패턴이 되는 것이다.만약 1도가 D라면 D, G, A, D가 D Major Code의 코드 패턴이..
기타 Major cord 잡는 방법
·
기타
이제 우리는 기타의 기본 정보와 코드가 어떤 음으로 구성음으로 되어있는지 알아보았으니 지금부터  Major cord를 잡는 법을 알아보자 자 이제 정말 코드 구성음도 알았으니 코드 잡는 법을 배워보자.기타 넥기타의 개방음은 두꺼운 줄부터 미,라,레,솔,시,미이며 튜닝할 때는 E, A, D, G, B, E으로 튜닝한 다음에넥의 있는 은색 쇠막대기를 프렛이라고 부르며 1프렛은 가장 헤드쪽에 있는 곳이며 3, 5, 7, 9프렛에 점 또는 아래 사진과 같이 표시가 되어 있을텐데 나중에 코드 외울때 도움되는 것이니 알고 있으면 유용하며 12프렛은 개방음의 한 옥타브가 높은 음을 표시한다. 1프렛을 누르라고 하면 손가락으로 첫 쇠막대기와 헤드 사이의 줄을 누르면 되고 3프렛은 3번 막대와 2번 막대 사이에 있는 줄..
기타 기본 지식
·
기타
기타에는 여러 가지 명칭들과 기타를 치기 전에 알아야 할 기본 정보를 알아보자 일단 시작하기 앞서서 코드를 알아보기 전 알아야하는 상식을 알고 가자면 도, 레, 미, 파, 솔, 라, 시, 도가 영어로 C, D, E, F, G, A, B, C라는 것과 미(E)와 파(F), 라(A)와 시(B)가 각각 반음 차이가 나며 3번째 음과 4번 째, 7번째와 8번째 음도 반음씩 차이 난다는 것을 기억하고 시작하면 좋을 것 같다. 오른쪽 사진에서 보이는 기타의 가장 윗부분이 헤드, 긴 부분이 넥, 넥 밑에 넓은 부분이 바디라고 크게 볼 수 있다.지금부터 코드가 어떻게 만들어지는지, 어떻게 잡는지에 대해서 C,D,E,F,G,A,B 순서대로 알아보자. 일단 우리가 기타에서 알파벳 하나만 있는 C코드 이런 것들을 Maj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