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nor code 잡는 방법

injjoy153
|2025. 1. 23. 13:44

이번에는 minor code(마이너 코드)의 운지법(잡는 방법)과
minor code pattern(마이너 코드 패턴)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자.

들어가기 앞서 마이너 코드는 C, D, F, G, A, B 뒤에 소문자 m을 붙여서 표기한다.

 

minor code 구성 화음

 

마이너 코드를 이루고 있는 화음은 Ⅰ(R 또는 1도), Ⅲ(♭3도), Ⅴ(5도)인데 쉽게 설명하여

메이저 코드와 같이 R, 단 3도, 장 3도를 찾아서 화음을 낼 것인데 ♭3도라고 했으니

단 3도의 음을 반음 낮추어서 잡는다라고 생각하면 가장 편하다.

 

minor code를 배우기 전에 알아야 할 점은
하이코드(바레코드)가 더 많아진다는 점이 있지만
이거를 반대로 생각한다면 몇 가지 코드만 안다면 나중에는 더 편하다는 말이 되기도 하다

 

왜냐하면 일단 이 이야기를 이해하기 위해 하이코드를 잡는 이유를 말하자면

일단 기타를 사면 또는 기타 치는 사람들을 보면 아래 사진과 같은 카포를 본 적이 있을 것이다.

 

Capo

 

 

이렇게 생긴 도구를 우리는 카포 (Capo)라고 부르는데

이 도구는 프렛에 끼우게 되면 개방음보다 음이 더 높아지게 된다. 

그래서 1 프렛에 끼운다고 하는 거를 1 capo라고 하는데, 

1 capo를 했을 때 우리는 전체의 개방현이

미, 라, 레, 솔, 시, 미가 파, 라#, 레#, 솔#, 시#, 파로 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우리가 하이코드를 잡는 원리도 같다.

 

우리가 튜닝을 E, A, D, G, B, E로 했을 때에

더 높은음을 사용하기 위해 매번 카포를 끼울 수 없으니

검지 손가락으로 카포를 만든다고 생각하면 좋을 거 같다.

 

자 그럼 우리는 역으로 꼭 외워야 하는 코드와 생각을 하면 

잡을 수 있는 코드를 분류해 보자. 결론부터 말하자면 우리는
Am, Dm, Em 이 세 가지 코드만 알고 있으면 나머지 Bm, Cm, Fm, Gm는 하이코드로 만들 수 있다는 것을 알고 있으면 좋을 거 같다.

 

 

 

minor code 잡는 방법

 

Cm 코드

 

Cm는 도, 미, 솔을 잡으면 된다. 그렇기에 Cm코드는 아래 사진과 같이 1번 손가락으로 3 프렛을 모두 잡고,
2번 손가락으로 4번 프렛 2번줄, 그리고 3번과 4번 손가락을 각각 5번 프렛에 3번과 4번 줄을 잡으면 된다.

더 쉽게 이야기 하면 Am코드에서 1음 반 높기에 3프렛으로 1번 손가락으로 잡고
2, 3, 4번 손가락으로 Am코드를 잡으면 된다.

 

 

Cm코드

 

 

Dm 코드

 

Dm는 레, 파, 라를 잡으면 된다. 그렇기에 Dm코드는 아래 사진과 같이 

1번 손가락으로 1프렛 1번 줄, 2번 손가락을 2 플렛 3번 줄, 3번 손가락을 3 프렛 2번 줄을 잡으면 된다.

Dm코드

Em 코드

 

Em는 쉽게 말해서 이전에 배웠던 E코드에서 1번 프렛 3번 손가락만 때면 Em코드가 된다.

Em의 구성음은 미, 솔, 시이다. 그래도 어렵다면 아래 사진을 참고하면 좋을 거 같다.

Em코드

 

Fm 코드

 

Fm의 구성음은 파, 라♭, 도이지만 우리는 방금 배운 Em를 응용해서

E(미)와 F(파)는 반음이 차이 나기에 1프렛을 올려서 잡으면 Fm가 될 수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운지법도 Em를 2,3번 손이 아닌 3,4번으로 잡고 1 프렛을 1번 손가락으로 카포 역할을 하게끔 잡아주면 된다.

제대로 된 운지법은 아래 사진을 참고하자.

Fm코드

 

Gm 코드

 

Gm의 구성음은 솔, 시♭, 레이지만 Gm 또한 Fm에서 한음 높아지면 Gm이기에

Fm를 잡은 상태에서 오른쪽으로 2 프렛씩 움직이면 Gm가 된다.

자세한 운지는 아래 사진을 참고 하면 좋을 거 같다.

Gm코드

 

Am 코드

 

Am는 Gm에서 1프렛 오른쪽으로 옮겨 잡는 것도 Am이지만, 

우리는 잡기 쉬운 기본적인 Am를 알아보도록 하자.

Am를 구성하는 구성음은 라, 도, 미이다.

Am는 오늘 우리가 가장 처음 배운 Cm를 하이코드로 잡지 않고 잡은 거라고 생각하면 편하다.

따라서 1번 손가락을 1번 프렛 2번줄, 2번과 3번 손가락을 각각 2 프렛에 4번, 3번 줄에 두면 된다.

 

더 쉽게 외우는 방법은 기존 A코드에서 2번 줄을 2번프렛을 1번 프렛으로 잡으면 되는구나를 알면 도움이 될 거 같다.

Am코드

 

Bm 코드

 

Bm는 방금 배운 Am를 한음 올려서 잡는거기에 1번 손가락인 검지로 2번 프렛을 다 누르고
나머지 손가락으로 Am를 잡는다고 생각하면 잡기 쉬울거 같다는 생각이 든다.

잘 모르겠다면 아래 사진을 참고하면 좋을 거 같다.

Bm코드

 

 

이렇게 해서 오늘 minor cord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앞으로 많은 코드를 배울 것이지만

유난히 F와 B계열 코드가 하이코드가 많기에 알아두면 좋을거 같다는 생각과

기타 코드는 다양한 방법으로 잡을 수 있다는 것을 잊지 않았으면 좋겠다.

예를 들어 Am코드로 Bm, Cm코드를 잡은 거처럼 Dm, Em, Fm, Gm를 잡을 수도 있다는 것이기에

나중에 곡을 치면 알겠지만 기타 코드는 연주자가 편한 데로 잡아도

구성음의 소리가 난다면 손가락의 위치는 중요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기억하며

궁금한 것과 질문하고 싶은 내용은 댓글에 적어주면 친절히 답해드리겠습니다.

다음 시간에는 minor cord pattern과 반마디 패턴으로 더 자유롭게 코드 바꾸는 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자.


출처

 

 

ZINICUBE★기타&우쿨렐레 독학하기!

통기타, 어쿠스틱기타, 우쿨렐레, ukulele 처음 부터 차근차근 혼자서 배워보는 독학 공간.

zinicube.tistory.com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Major Code Pattern과 칼립소 리듬  (0) 2024.06.13
기타 Major cord 잡는 방법  (0) 2024.06.11
기타 기본 지식  (0) 2024.06.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