갑오개혁 (1차)
중심인물과 직전 상황
흥선대원군(대가리), 김홍집 내각 중심으로
근대화 정책을 이룰 행정기구인 군국기무처 설치
정치
일단 첫째로 개국기년 사용(열 개, 나라 국, 기준 기, 해 년 = 조선이 시작된 연도를 기준으로 년도를 표기한다.)
둘째로 궁내부의 업무만 담당하는 궁내부 설치(민씨 정치 세력 견제하려고)
셋째 기존 의정부 밑에 있던 6조를 8아문으로 개편 넷째 경무청 중심으로 경찰제 도입,
다섯째로 사간원을 비롯한 언론기관과 성리학 중심으로 된 과거제 폐지
여섯째로 토지*산림*광산을 외국인에게 매매 금지 but 일본에게만 경부선 부설권 넘겨줌
경제
첫째 : 재정을 탁지아문으로 일원화 (즉 옛 6조 중 호조와 왕이 관리하던 것을 호조를 탁지아문으로 변경 및 재정 담당)
둘째 : 조세 항목을 지세(땅 넓이대로 내는 세금)과 호세
(집 넓이만큼 내는 세금)로 통합했다.
셋째 : 조세 금납제(특산물 말고 돈으로 내는 제도)를 시행했다.
넷째 : 은본위 화폐 제도를 도입하여 은화량을 기준으로 돈을 찍어 냈다.
사회
첫째 : 신분을 차별과 노비제 폐지
둘째 : 조혼 금지 (빠를 조, 혼인할 혼 즉 일찍 결혼하는 것)
셋째 : 과부의 재가을 허용 (재혼)
넷째 : 참형과 가혹한 고문 및 연좌제 (잘못한 사람 주변의 만난 놈, 말 섞은 놈까지 숙청하는 것) 폐지
(근대화 이루는데 야만적인 행동하지 말자는 취지)
다섯째 : 공문서 (상소문 등등)에 국학문(한글)과 국한문(한자) 사용 허용
갑오개혁 (2차)
직전 상황 : 청일 전쟁의 승기를 든 일본이 적극적 간섭 시작
흥선대원군 은퇴 - 친일 성향 박영효와 김홍집의 연립 내각의 군국기무처 폐지
공종이 종묘에서 조선이 자주국임을 명시하여 홍범 14조 반포
정치
첫째 : 통치 중심이 왕이었으나 내각 중심으로 변경 (의정부 자리 차지)
둘째 : 8아문을 다시 7조로 변경해 내각 편성
셋째 : 지방 행정을 8도 23부으로 소속시킴
넷째 : 기존 정부 기관이나 수령들이 가지고 있던 군사권을 모두 뺏어
기존 군사 조직을 폐지하고 중앙의 훈련대 + 고종 지키는 시위대 창설했고
다섯째 : 기존 정부 기관이나 수령들이 가지고 있던 사법권을 모두 뺏어 재판소로 단일화
경제
첫째 : 근대적 예산 제도
둘째 : 관세사와 징세서를 설치
셋째 : 육의전 (국가 공인 이마트)과 상리국을 (보부상의 독점 상업권을 없애고자)폐지
사회
첫째 : 교육입국 조서 반포 (사범학교, 소학교, 외국어 학교)
을미개혁(3차)
개혁 전 상황 : 명성황후가 살해당함 (을미사변)
박영효가 아닌 김홍집, 유길준과 같은 친일 관료의 내각 형성
정치
훈련대 해산과 중앙의 친위대, 지방에 진위대 신설
(국호 '대조선 제국'과 '황제' 칭호 쓰려고 했지만 열강의 반대로 실패)
경제
첫째 : 태양력 및 '건양'사용
둘째 : 종두법(천연두 백신)과 단발령(일본인 머리로만 살아) 실시
셋째 : 우편 사무 다시 제개
사회적 개혁 X
갑오개혁의 의의 : 봉건적 통치 체제를 개혁하려는 근대적 개혁이다.
갑오개혁의 한계 : 하지만 근대화의 주요 요소인 국방력 강화 및 공업 진흥(공장 및 기계 사용) 등에 소홀히 했다.
빨간 글씨 위주로 공부하고 파란 글씨는 쉽게 풀이니 참조
'공부 > 한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2차 지필 평가 (2) | 2024.12.15 |
---|---|
III 일제 식민지 지배와 민족 운동의 전개 (교과서 밑줄 위주) (0) | 2024.10.01 |
수행평가 내용 및 채점 기준표 (0) | 2024.09.28 |
2학년 1학기 기말고사 정리 (0) | 2024.07.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