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차 아편전쟁(1840~1842) : 영국이 청이랑 교류하다 지속적 적자와 중국이 아편을 대거 바다에 버리자 일어난 전쟁

난징 조약(1842) : 중국의 5개 항구 추가로 개항하고 홍콩을 할양해 준 조약

2차 아편전쟁(185~1860) : 중국이 애로호의 영국 국기 훼손했다는 이유와 지속되는 적자로 일어난 전쟁

미일 화친 조약 & 미일 수호 통상 조약 : 페리 제독이 무력시위로 문호 개방한 조약


고종 즉위 이후 흥선대원군의 왕권 강화 내용

대내적으로는 왕권강화 및 민생 안정

왕권강화 내용 : 1.안동김씨 비롯한 세도 가문 몰아냄, 2. 비변사 축소 (사실상 폐지), 3. 의정부와 삼군부의 기능 부활, 4. 『대전회통』,  『육전조례』 등 법전 편찬, 이앙선을 위해 수군 강화 및 신무기 제조 번외로 경복궁 중건, 원납전 기부금 강제 납부 - 통행세 부가 - 당백전 발행으로 인한 인플레이션

 

민생 안정 : 1.서원 47개만 남기고 철폐, 2. 삼정 중 전정의 문란을 개선하기 위한 양전사업(토지 면적 파악) 실시, 3. 군정의 폐단 개선을 위한 호포제 (신분과 관계없이 군포 부담) 실시 환곡 개혁하기 위한 사창제(매우 높았던 이자 하락)

 

대외적으로는 통상 수교 거부 정책 (병제병오신)

2차 아편전쟁 이후 러시아가 연해주 먹고 조선의 부담감 증가 - 프랑스 선교사 도움 요청 - 프랑스 거부 - 흥선대원군의 프랑스 선교사 및 신자 처형(병인박해-1866)

제너럴셔먼호가 강화도에서 불타서 침몰(제너럴셔먼호-1866)

선교사 죽였어? - 이건 용서가 안됨 - 강화도 공격(병인양요-1866)

오페르트가 흥선대원군 아버지 묘 파묘하려다 실패(오페르트의 도굴 사건-1868)

미국이 우리 제너럴셔먼호 없애? - 강화도 공격(신미양요-1871)

 

이후 흥선대원군이 양요를 개기로 통상 거부 정책(외세랑 교류 안 하고 문호 개방하지 않겠다)을 전국에 척화비 세움

 

반면 청은 외국 상품으로 인한 수입 감소 및 전쟁 배상금으로 인한 세금 부담금이 많아지자 어려워진 농민들이 봉기함

= 태평천국 운동

태평천국 운동은 중체서용(중국 체제는 내버려 두고 서양 문물 수용하자)을 바탕으로 추진이 근대화 운동으로 이어짐

= 양무운동 

양무운동은 서양식 무기 도입, 군수 공장 설립, 철도와 통신 산업 육성, 외국에 유학생 파견

but 지역별로 하거나 근본적인 제도의 변화가 없어서 실패

 

그에 비해 일본은 메이지 정부가 부국강병과 문명개화를 중심으로 근대 개혁 추진

= 메이지 유신

내용 1. 중앙 집권적인 입헌군주제 (왕은 있지만 정치에 직접 참여 ㄴㄴ)

2. 신분제 폐지

3. 징병제

4. 국민에게 납세 의무(국가 제정 확보)

5. 소학교로 의무 교육

6. 근대 산업 육성

7. 철도 및 근대 시설물 건설

8. 이와쿠라 사절단 파견

 

조선에서도 문호 개방을 주장하는 개국 통상론 주장(박규수, 오경석, 유홍기 등등)

개국 통상론자들은 김옥균, 박영효, 김윤식 등이 있었고 이들은 개화파라는 세력 형성

 

1873년 고종의 직접 정치의 시작 이 무렵 일본의 운요호 강화도 등장 - 강화도에서 운요호와 다이다이(운요호 사건-1876)

이후 강화도 조약(조일 수호 조규 체결-1875) 조선이 외국과 맺은 최초의 근대적 조약 및 불평등 조약

 

내용 : 조선 자주국임을 명시, 3포 개항, 일본의 영사 재판권 인정

조일 수호 조규 부록은 일부 지역에서 일본 화폐 사용 가능

조일 무역 규칙은 곡물 수출 X, 일본 배의 항세 X, 일본 물품 관세 X

 

조선에서 김홍집이 일본의 수신사로 가서 가져온 『조선책략』이 퍼지면서 미국과 연합하라는 내용이 있어

미국과 조미 수호 통상 조약 체결(1882)

내용 1. 거중조정(두 나라 간의 분쟁이 발생했을 때 제3 국이 중재에 나서 조정하는 것)

2. 관세 부과 조항(관세 낮추는 것)

3. 최혜국 대우(우리 조건이 가장 좋아야 함)

4. 영사 재판권 인정

 

한편 청은 조선과 실직적은 종속 관계를 맺고자 자국이 조선의 종구국이라는 내용의 조청 상민 수륙 무역 장정 체결 강요

 

강화도 조약 이후 정부에서 일본에 수신사 파견 1차로 김기수가 근대 시설 관찰, 2차로 김홍집이 발전상 관찰

이후 조선에서 근대화 정책을 총괄하기 위한 통리기무아문 설치 and 군사 제도 개편 5 군영 ->2영으로 변경

 

일본에게 훈련받는 신식 군대 별기군 창설


1881년 박정양, 어운중, 홍영식 등의 관료들이 비밀리에 조사 시찰단으로 일본에 파견됨

 

이후 김윤식이가 영선사가 되고 일본의 제도, 법률, 공장 등을 조사했고 이를 계기로 기기창 설치

 

미국에도 답례 사절단 파견

 

19C 후반 이항로 기정진 등이 척화 주전론을 내세우며 흥선대원군의 통상 수교 거부 정책을 지지

 

1870년대 외양일체론(왜놈과 양놈은 같은 놈이다.)을 내세우며 일본의 개항 요구 반대

 

『조선책략』이 퍼지면서 이만손을 중심으로 만인소를 올려 개화정책과 미국과의 수교 정책 반대(개화 반대 운동)


임오군란 매우 간단하게 정리해서 별기군 생긴 이후 세금 부담금이 많아진 백성들과 이전에 있었던 군인들의 13개월 임금체불로 참고 있다가 당시 월급인 쌀에 모래가 섞여 있자 분노해서 일어남 이 사건에서 일본인 교관이 사망하고 창덕궁에 있던 민 씨 일파가 사망 명성황후가 도망치면서 쓴 일기가 임오유월일기 이후 고종이 쫄아서 흥선대원군에게 상황 수습을 맡기고 다시 권력 장악

 

청이 임오군란을 제압한 후 조선 정부에 조청 상민 수륙 무역 장정 체결 강요 및 양화진과 한성 요구 마건상 및 뭴렌도르프 고문으로 파견해 조선 내정과 외교의 간섭

 

일본은 일본 공사관 습격을 핑계로 제물포 조약 체결 강요 - 일본군을 한성에 주둔

 


임오군란 이후 청의 간섭이 심해지자 개화파가 분파가 되고

김윤식, 김홍집, 어윤중 등이 청의 양무운동을 중심으로 근대화해야 한다고 주장한 온건 개화파,

김옥균, 박영효, 홍영식 등이 일본의 메이지 유신을 중심으로 근대화해야 한다고 주장한 급진 개화파로 나뉨

 

급진이 박문국을 만들어 최초의 우리나라 신문인 한성순보 창간했다

 

청나라 군인이 프랑스와 베트남 전쟁으로 인해 조선에 있는 청군의 반절이 철수했고 이틈을 노린 급진개혁파가 일본을 믿고 우정총국(우체국) 개국 축하연에서 민 씨 세력 중 핵심 인물 제거 개화당 중심 정부 구성 = 갑신정변

 

하지만 3일 만에 실패로 이어졌고 급진 개화파의 일부는 일본으로 망명을 가기도 했으며 일본은 조선과 한성 조약을 통해 배상금을 받아냈고, 일본과 청은 톈징 조약을 통해 서로 조선에 군사를 파견할 때 서로 통보하도록 했으며

갑신정변은 자주적을 근대 국가 건설하기 위한 최초의 정치 개혁이었으며 이후 근대화 운동에 영향을 주었지만, 소수 지식인의 개혁이 민중의 지지를 얻지 못하고 일본에 지나치게 의존함